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정보

후경골근(Posterior Tibialis)의 해부학적 위치, 기능, 그리고 트레이닝 방법

by 트박 2025. 1. 23.
728x90

후경골근(Posterior Tibialis): 해부학적 위치, 기능, 그리고 트레이닝 방법

 

안녕하세요! 트박입니다~!

오늘은 발과 발목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중요한 근육인 **후경골근(Posterior Tibialis)**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후경골근은 걷기와 달리기 같은 기본적인 움직임부터 균형 유지까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발 아치 형성에 핵심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이 근육을 잘 관리하면 발목과 발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후경골근의 해부학적 위치와 기능, 그리고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까지 친근하게 풀어보겠습니다.

 

1. 후경골근의 해부학적 위치

 

후경골근은 종아리 안쪽 깊숙이 위치한 근육으로, 발목 관절의 안정성과 발의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종아리 깊은 곳에서 시작해 발목과 발바닥으로 이어지는 길고 얇은 근육으로, 발의 기능적인 역할을 뒷받침합니다.

 

 

후경골근
후경골근

 

(1) 후경골근의 구조

 

1. 기시(Origin)

경골(Tibia)과 비골(Fibula)의 후면 상단부.

경골과 비골 사이에 위치한 골간막(Interosseous Membrane).

 

2. 정지(Insertion)

발바닥의 여러 뼈에 부착되며, 특히 주상골(Navicular Bone)과 설상골(Cuneiform Bones)에 연결됩니다.

발의 아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위치

후경골근은 종아리의 깊은 근육층에 위치하며, 발목 안쪽에서 쉽게 촉지할 수 있습니다.

힘줄은 발목 안쪽을 지나 발바닥으로 이어지며, 발바닥의 다양한 뼈와 연결됩니다.

 

2. 후경골근의 기능

 

후경골근은 발과 발목의 움직임, 안정성을 담당하며, 발바닥 아치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1) 주요 기능

 

1. 발의 내번(Inversion)

발바닥을 안쪽으로 돌리는 동작을 돕습니다.

예: 울퉁불퉁한 지면에서 발목을 안정화.

 

2. 족저굴곡(Plantar Flexion)

발을 아래쪽으로 누르는 동작을 보조합니다.

예: 발끝으로 서기, 계단 오르기.

 

3. 발 아치 유지

후경골근은 발바닥의 종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를 지지하며, 발 구조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아치가 무너지지 않도록 유지해 걷기와 달리기를 편안하게 만듭니다.

 

(2) 일상생활에서의 역할

 

후경골근은 우리가 일상에서 끊임없이 사용하는 근육입니다:

걷기와 달리기: 착지 시 충격을 흡수하고 발목과 발바닥을 지지합니다.

발 아치 지지: 발 아치가 무너지지 않도록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균형 유지: 한 발로 서거나 불안정한 지면에서 균형을 잡도록 돕습니다.

 

3. 후경골근 트레이닝 방법

 

후경골근은 발목과 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근육이므로, 이를 강화하면 발 건강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하체 안정성도 향상됩니다. 아래는 후경골근을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대표적인 트레이닝 방법입니다.

 

(1) 저항 밴드를 활용한 발 내번 운동(Resistance Band Inversion)

방법:

1. 저항 밴드를 발 안쪽에 걸고, 밴드의 반대쪽 끝을 고정합니다.

2. 발을 안쪽으로 돌려 밴드의 저항을 이겨냅니다.

3. 천천히 원래 자세로 돌아옵니다.

효과: 후경골근을 직접적으로 강화하며 발목 안정성을 높입니다.

: 동작을 천천히 수행하며 근육의 긴장을 느껴보세요.

 

(2) 발끝 들어올리기(Heel Raise with Inversion)

방법:

1. 발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서서 발뒤꿈치를 들어올립니다.

2. 발을 살짝 안쪽으로 비틀며 천천히 내려옵니다.

효과: 족저굴곡과 발의 내번 동작을 결합하여 후경골근을 강화합니다.

: 양손으로 벽을 잡아 균형을 유지하세요.

 

(3) 한 발 균형 잡기(Single-Leg Balance Exercise)

방법:

1. 한 발로 서서 균형을 유지합니다.

2. 20~30초간 유지한 후 반대쪽 발도 반복합니다.

효과: 후경골근뿐만 아니라 발목 전체의 안정성을 강화합니다.

: 초반에는 평평한 바닥에서 시작하고, 점차 균형 잡기 어려운 표면(예: 쿠션)으로 이동하세요.

 

(4) 경사진 보드에서 발내번 훈련(Incline Board Inversion)

방법:

1. 발을 경사진 보드 위에 놓고 발 안쪽으로 체중을 이동합니다.

2. 천천히 발을 중립 위치로 돌아오게 합니다.

효과: 발의 내번 동작을 통해 후경골근을 강화합니다.

: 균형을 유지하며 천천히 동작을 수행하세요.

 

4. 후경골근 스트레칭과 회복

 

운동 후에는 후경골근을 스트레칭하여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칭 방법

 

1. 발 내번 스트레칭(Inversion Stretch)

앉아서 한쪽 발을 다른 다리 위로 올리고, 손으로 발바닥을 잡아 안쪽으로 부드럽게 당깁니다.

20~30초간 유지한 후 반대쪽도 반복합니다.

 

2. 벽 스트레칭(Wall Stretch)

벽을 잡고 한쪽 다리를 뒤로 뻗어 발뒤꿈치를 바닥에 붙이고, 발목과 발 아치를 늘립니다.

 

3. 앉아서 발목 돌리기

의자에 앉아 발목을 원을 그리듯 천천히 돌려 근육을 이완합니다.

 

5. 후경골근 트레이닝의 중요성

 

후경골근은 발목과 발 아치의 안정성, 움직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이를 강화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부상 예방: 발목 염좌와 발 아치 붕괴로 인한 부상을 예방합니다.

운동 퍼포먼스 향상: 균형감과 발의 추진력을 강화해 걷기, 달리기 등의 운동 성과를 높입니다.

발 건강 유지: 발바닥 아치를 안정화하여 편안한 걸음걸이를 제공합니다.

 

결론

 

후경골근은 발목과 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발바닥 아치를 지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이를 강화하고 관리하면 일상생활과 운동에서 더 편안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트레이닝과 스트레칭 방법을 꾸준히 실천해 보세요. 건강한 발과 발목이 여러분의 삶을 더욱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또 다른 중요한 발목 근육인 **대둔근(Gluteus maximus)**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728x90